목록장국영 (16)
Doogie's Blog
메가박스 R.I.P 장국영 기획전 1988년인가를 끝으로 극장에서 보지 못하고 살다가 2015년, 2018년 그리고 2024년으로 세번째이다. 천녀유혼 재개봉 (倩女幽魂, 1987) DP에서 천녀유혼 재개봉 상영한 것을 보았다는 글을 보고서는 얼른 상영관을 찾았고, 서울 압구정의 조이앤시네마라는 처음 들어본 곳에서 아직 상영 중인 것을 알게 되었다. 주말을 기다렸다가 snowfrolic.tistory.com 천녀유혼 (倩女幽魂, 1987) 이벤트 상영 CGV Every Night Movie Trip, Again 시즌5 이벤트로 홍콩 영화가 연속 상영중이다. 상영관이 극히 제한적인데 경기도에서는 CGV오리에서만 한다. 오늘 토요일 상영 프로그램이 천녀유혼. 단 한번의 상영이 snowfrolic.tistor..
매년 이맘때 하는 메가박스 R.I.P 장국영 기획전 상영 영웅본색 천녀유혼 영웅본색2 아비정전 패왕별희 재개봉으로는 세번째인가. 영웅본색 英雄本色 (A Better Tomorrow) - 재개봉 8월 8일에 재개봉한다는 소식을 듣고 극장에서 다시 볼 수 있다는 생각에 얼마나 기뻤는지... 오늘(정확히 어제 10일) 압구정 CGV 4관 밤 9시 40분 편을 보았다. 원래 서대문 드림시네마(구 화양극장) snowfrolic.tistory.com 영웅본색 재개봉 (英雄本色, 1986) 1987년 천호동 문화극장, 2008년 CGV압구정, 2016년 롯데시네마 광교아울렛. 30년의 세월이 흘러 이젠 그들의 연기도 액션연출도 시대를 압도하기에는 힘겹다. 30년전 그시절 10대의 나이에 이 영화를 snowfrolic..
패왕별희 디 오리지널, 故장국영 20주기 재개봉. 1993년 12월 국내 첫 개봉 때 종로2가의 코아아트홀에서 이 영화를 본 이후 30년만에 극장에서 다시 감상. 1924년부터 1970년대 사이. 많은 전쟁과 시대 변화를 겪은 중국 백성들의 고달픔은 마치 MBC 여명의 눈동자에서 우리 민족의 모습을 보는 듯했다. 하지만 전통 문화의 종말을 맞이하게 되는 시절을 살아가는 경극 업계 종사자들과 그 중에서도 남자이지만 여자의 감정을 강요받는 우희역의 한 배우의 입장과 인생이 현대 중국의 역사와 맞물리면서 다층적으로 그려지는 각본의 힘은 패왕별희의 뛰어난 점이고, 마지막 문화대혁명 장면의 절정을 거쳐 부스러기만 남은 두 배우의 모습까지 가면 말로 표현하기 힘든 감정의 휘몰아침을 겪게 된다. 데이와 샬로의 이야기..
CGV Every Night Movie Trip, Again 시즌5 이벤트로 홍콩 영화가 연속 상영중이다. 상영관이 극히 제한적인데 경기도에서는 CGV오리에서만 한다. 오늘 토요일 상영 프로그램이 천녀유혼. 단 한번의 상영이다. * 4/15(일) 색,계 4/16(월) 첩혈쌍웅 디 오리지널, 4/17(화) 폴리스 스토리 4/18(수) 정무문 4/19(목) 무간도 4/20(금) 무간도2 4/21(토) 사망유희 디 오리지널 4/22(일) 영웅본색 4/23(월) 영웅본색2 4/24(화) 영웅본색3 (일자별 저녁9시 상영) 1987년 한국 개봉 포스터 1987년말 개봉 흥행망한 후 1988년 초 재개봉관에서부터 입소문나기 시작. 올해 개봉 30주년이네. 극장에서 수도 없이 봤지만 이번 상영 환경이 가장 좋았다. ..
장국영 추모 기념 상영. 곧 내릴 것 같아 얼른 가서 보았다. 패왕별희 재개봉도 기획되었으나 취소되었다. 긴 머리카락이 드리워진 장만옥의 하얀 얼굴과 가로등의 노란빛 아래 경찰모 챙으로 그늘진 유덕화의 얼굴 윤곽이 멋지다. 왕가위는 장만옥을 정말 예쁘게 보여준다. 그리고, 장국영의 얼굴을 가장 가까이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다. (2017.4.2 장국영 추모 재개봉, 메가박스 영통) 2017년 4월 2일. 메가박스 영통 9관 7시 10분편. G8. ★★★☆ 돌비디지털 비스타비전 상영
1987년 천호동 문화극장, 2008년 CGV압구정, 2016년 롯데시네마 광교아울렛. 30년의 세월이 흘러 이젠 그들의 연기도 액션연출도 시대를 압도하기에는 힘겹다. 30년전 그시절 10대의 나이에 이 영화를 봤다는게 얼마나 다행인지. 그래서 아직도 난 이 영화가 좋다. 2016년 2월 20일 롯데시네마 광교아울렛 2관 23시 40분편. G8
DP에서 천녀유혼 재개봉 상영한 것을 보았다는 글을 보고서는 얼른 상영관을 찾았고, 서울 압구정의 조이앤시네마라는 처음 들어본 곳에서 아직 상영 중인 것을 알게 되었다. 주말을 기다렸다가 오늘 다녀왔다. 조이앤시네마 라는 극장이 어떻게 세워졌고 운영되고 있는지는 찾아봐야 겠지만, 일단 찾아가기가 쉽지 않았다. 신사중학교 길 건너편의 한블럭 안쪽에서 찾으면 되는데 간판이 일반 극장처럼 눈에 띄게 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초행길이라면 스타벅스 가로수길점을 찾고 그 맞은편을 보면 찾기 쉽겠다. 그렇다. 예상할 수 없었던 극장 간판. 위 사진에 보이는 왼편 건물 입구로 들어가서 지하2층으로 내려가면 극장입구이다. 영화시작 20분전에 도착했으나 문이 잠겨 있어서 여기가 입구가 아닌가하고 계단을 서성였다. 그때 ..
오리지널 동사서독을 1995년에 보았으니 18년만인가.(명보극장이었나?) 2008년에 공개한 리덕스 버전은 첫 상영이니 처음이라고도 할 수 있겠지만... 1995년에 본 오리지널은 드문드문 장면만 기억을 하고 있어서 리덕스와 뭐가 다른지 비교는 불가능한 상황. 그냥 리덕스의 내용만 보면... 계절 별로 각 등장인물의 이야기를 나누어 진행한다. 경칩, 하지, 백로, 입춘 그리고 다시 경칩. 구양봉(장국영)과 황약사(양가휘)가 만나는 에피소드에서 시작하여 모용연->독고구패(임청하), 맹무살수(양조위), 홍칠(장학우)의 에피소드가 계절별로 전해지며 마지막에 구양봉이 사랑했던 자애인(장만옥)의 이야기로 마무리한다. 왕가위의 영화가 늘 그렇듯..(아니 이 영화에서 그 전형성이 시작되었다고 봐야할 지) 전형적인 기..
지금은 절판된 영화잡지 로드쇼1989년 5월호에 실린 천녀유혼 특집 기사이다. 일부 내용이 어색할 수 있으나 1989년 당시 기준으로 생각하면서 읽으면 된다. ‘천녀유혼’ 철저 대해부 최첨단 SFX, 단 한번도 상상할 수 없었던 로맨티시즘, 화려한 동양의 미술과 환타스틱한 중국 귀신들의 세계. 이제 전설적인 걸작이 된 ‘천녀유혼’의 평가는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미 세계 18개 영화제에서 수상하거나 초대되었으며 까다로운 영화 팬 들의 도시로 유명한 파리에서 88년 12월 28일, 편집광적인 무비 마니아들의 도시 동경에서 89년 1월 14일에 개봉되어 이제 세계적인 영화가 되었다. ‘천녀유혼’의 최초의 아이디어는 홍콩 뉴웨이브의 기수 서극에 의해서 이루어졌다. 1986년 ‘영웅본색’으로 ‘홍콩느와르’라는 ..
오우삼 감독의 1986년 작 영웅본색.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홍콩느와르라는 장르의 시발점이 된 영화. 이 영화로 당시 잊혀졌던 배우였던 적룡은 화려하게 부활하였고, 주윤발과 장국영은 한국을 비록한 아시아권을 주름잡는 대스타로 떠오르게 된다. 당시로서는 충격이다시피 했던 총격씬을 보여주었던 반면 상당히 서정적인 장면들로 가슴을 뭉클하게 하기도 했는데, 여기에는 그 감정을 고조시켜주는 soundtrack의 역할이 참으로 컸다고 할 수 있다. 이 soundtrack은 홍콩 영화 음악계에서 가장 존경받는 거장인 고가휘(顧嘉煇, Joseph Koo)에 의해 제작되었는데, 그는 유학을 마치고 돌아온 1970년대초부터 쇼브라더스와 골든하베스트에서 수많은 영화와 TV드라마의 음악을 작곡하였으며 1986년 영웅본색 (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