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Movies/2025 (4)
Doogie's Blog

존 윅 10주년 재개봉개봉 당시에는 보지 못했고 2015년 즈음인가 TV로 보고서 매우 감탄했었다. 후속편들은 전부 극장에서 감상했으나 이 1편은 이제서야 극장에서 보게 되었다. 그 사이에 OTT로 아마도 2~3번은 보았을 것이다. 극장에서 보는 것의 차이는 작은 화면과 사운드로 볼때는 느낄 수 없었던 디테일을 느낄 수 있다는 것이다. 눈동자의 작은 움직임에 의한 시선의 변화나 눈에 살짝 고이는 눈물이나 작은 호흡 소리, 달각거리는 생활 소음 등. 이 장르의 생명이라 할 수 있는 총격 사운드는 말할 필요도 없다. 그 작은 것이 전체의 감상을 바꾸기도 한다. 존 윅은 액션 장르의 최고 작품으로 칭해도 손색이 없다고 생각한다. 스턴트맨 출신인 데이빗 레이치가 프로듀서를 스타 채드헬스키가 감독을 맡아서 ..

브루탈리스트 최근 볼수 없는 1.66:1 비스타비전 필름 촬영에 러닝타임 215분이고 15분 인터미션이 있다.촬영도 아날로그이고 소재는 되게 서사적일 것 같은 영화인데 만듦새는 현대적이다 못해 혁신적이다.고전 이미지를 담은 뮤직비디오 같다고나 할까.아우슈비츠에서 생존한 천재 헝가리 건축가의 일생을 통해 아메리칸 드림의 허상과 예술과 자본의 관계를 논하는데,그런 이유로 문법이 낯설다. 내가 넘 고정관념에 사로잡힌 걸지도 모르겠다.데어 윌 비 블러드 같은 연출이었다면 만점을 주었을게다. 가이 피어스와 에이드리언 브로디의 연기는 이견이 없을 정도로 휼륭하고,그 낯섬에도 불구하고 215분의 러닝타임은 전혀 지루하지 않았다.화면비의 장점을 살린 건축물 장면이나 도시의 풍경 같은 비주얼도 뛰어나다. 다가오는 아카데..

재개봉 감상, 10년전쯤 집에서 본 이후 극장 관람은 처음. 하얀 눈위에 떨어지는 피 색의 대비처럼 토마스 알프레드슨의 북유럽 특유의 서늘한 미장센이 뱀파이어를 다룬 이야기의 분위기와 딱떨어진다 영화는 오스칼이 엘리의 새로운 보호자가 되는 결말인데, 린드크비스트의 원작 소설은 살짝 다르다고 하니 읽어봐야겠다. 올해들어 극장에서 본 영화 둘, 레브레터와 렛미인,내게는 겨울하면 생각나는 대표적인 영화들이다. 메가박스 특전 예쁘다.왼쪽 것은 메가박스 오리지널 슬라이드라 하고 렛미인은 No.5이다. 그런데 오리지널 슬라이드가 뭔지 모르겠다는.오른쪽 것은 포스트카드 크기의 렌티큘러 포스터인데 움직이면 오스칼과 엘리가 번갈아 보인다. 2025년 1월 26일 일요일 메가박스 강남 컴포트7관 (리클라이너)..

이 영화 5-6번 본 것 같은데 여러번 볼수록 나이가 들수록 보이는게 새롭고 느낌이 다르다.얼마나 좋아했을까 남중생 후지이 이츠키의 뚱한 표정과 행동 속에 어쩔줄 모르는 감정이 이글거리고 있다는 걸 알고서 보니 그렇다는 얘기다. 어릴 때 봤을 때는 등장인물에 나를 대입시켰지만이제는 16살의 이츠키가 내 아이처럼 느껴졌다.마음을 말하지 못하는 어린 모습에 마음이 심히 애틋했다고나 할까. 애니에 나올 듯한 외모를 가지고 세상 예민한 여자와 최강 둔감녀를 동시에 연기했던 나카야마 미호의 명복을 빕니다.극장 우퍼의 풍성한 저음으로 울리는 His Smile.그 음악을 배경으로눈 내리는 설원에 누워 숨을 참는 히로코의 풀샷으로 시작하는3분간의 롱테이크 오프닝 시퀀스는 내가 감상한 영화 중 가장 좋아하는 장면 중 ..